디스코드를 스터디에 쓰자고 하면 종종 “게임용 아니야?”라는 반응이 돌아옵니다. 막상 열어 보면, 텍스트·음성·화상·화면공유가 한 곳에 모여 있고, 채널과 권한으로 정보를 층층이 나눌 수 있으며, 봇으로 공지·출석·마감 알림까지 자동화할 수 있죠. 스터디에서 가장 힘 빼는 순간은 정해져 있습니다. 링크가 흩어지고, 과제 제출 형식이 제각각이고, 누가 발표자인지 매번 다시 물어보는 그 순간들. 디스코드의 장점은 이 모든 흐름을 한 서버 안으로 끌어 모아 “사람이 기억하지 않아도 시스템이 안내”하도록 만들 수 있다는 데 있습니다.
대부분의 스터디가 중도에 동력을 잃는 이유는 의지 부족이 아니라 구조 부족입니다. 공지는 카톡, 회의는 구글 밋, 자료는 노션, 과제는 폼… 이렇게 흩어지면 신입이 들어올 때마다 맥락 설명부터 다시 시작해야 하고, 운영자는 같은 질문에 답장을 반복하게 됩니다. 반대로 디스코드에서는 #start-here에서 규칙과 온보딩을 끝내고, #announcements에서 주간 계획을 공지하며, #submissions 스레드에 과제가 한 줄로 누적되고, 음성 채널에서 화면 공유로 발표와 피드백이 끝납니다. 기록이 쌓일수록 새로 합류한 사람도 10분이면 따라잡습니다.
운영자는 무엇을 바꿔야 할까요? 첫째, 보이는 구조를 만듭니다. 카테고리·채널 이름만 봐도 목적이 드러나게(공지/자료/과제/토론/음성/조별) 설계하고, “질문은 스레드, 파일은 링크+2줄 요약, 발표는 5분 발표+5분 질의” 같은 행동 규칙을 핀에 고정합니다. 둘째, 반복 루틴을 잠급니다. 월 공지–수 Q&A–금 마감–토 발표 같은 주간 리듬을 이벤트로 고정하고, 과제 제출·피드백 포맷을 템플릿으로 통일합니다. 셋째, 자동화를 얹습니다. 반응 역할로 관심 트랙을 셀프로 선택하게 하고, 마감 24시간·3시간 전 리마인더, 출석 리더보드, 포모도로 타이머를 봇에게 맡기면 운영 품질이 일정해집니다.
디스코드가 특별한 건 화려한 기능 때문이 아니라, 실시간 소통과 비동기 기록을 자연스럽게 섞어주는 구조 덕분입니다. 라이브 세션이 끝나면 요약이 스레드에 남고, 다음 주 공지는 상단에 고정되며, 과제 히스토리는 주차별 스레드로 정리됩니다. 덕분에 결석자가 있어도 복구가 쉽고, 멘토가 바뀌어도 흔들리지 않습니다. 무엇보다 “오늘 들어오면 무엇을 하면 되는지”가 항상 보이기 때문에 참여율이 유지됩니다.
이 글은 디스코드 스터디를 처음 만드는 분도 바로 실행할 수 있게 구조 설계 → 운영 루틴 → 자동화 3단계로 안내합니다. 채널 트리를 복붙 할 수 있도록 예시를 제공하고, 과제·발표·공지 템플릿을 그대로 쓸 수 있게 넣었으며, MEE6·Carl-bot·Sesh·포모도로 봇으로 알림과 기록을 자동화하는 실전 팁까지 묶었습니다. 아래 체크리스트대로 30분 세팅만 해도 “링크 찾기”와 “되묻기”가 눈에 띄게 줄어들 겁니다.
- 카테고리/채널 생성: #start-here · #announcements · #materials · #assignments · #submissions · #qna · 음성채널 2개
- 핀 고정: 규칙(스레드/파일 규칙), 주간 일정, 과제/발표 템플릿
- 역할/권한: Admin/Mentor/Host/Member, 공지 채널은 게시 권한 제한
- 봇 설치: 반응 역할, 이벤트/리마인드, 포모도로 타이머
- 주간 루틴 생성: 월 공지 · 수 Q&A · 금 마감 · 토 발표(이벤트 등록)
이제 본문에서 각 단계의 구체적인 설정과 템플릿을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목표는 간단합니다. 운영자가 공지 복붙에서 해방되어 콘텐츠와 피드백에 집중하도록, 참여자가 망설임 없이 오늘 할 일을 시작하도록 만드는 것. 스터디는 의지가 아니라 구조와 습관으로 굴러갑니다. 그 구조를 디스코드로 단단히 세워 보세요.
1) 구조 설계: 카테고리·채널 트리, 역할/권한, 온보딩을 먼저 잠그기
디스코드 스터디의 80%는 구조에서 결정됩니다. 들어온 사람이 10초 만에 “어디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파악하고, 운영자가 같은 질문에 답을 반복하지 않게 만드는 것—그게 구조의 목표예요. 이를 위해선 카테고리·채널 트리를 명확히 하고, 역할/권한으로 소음을 줄이며, 온보딩 절차를 3분 안에 끝내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아래는 바로 복붙 해 사용할 수 있는 트리·권한 매트릭스·온보딩 카드와 운영 팁을 모은 확장 가이드입니다.
1-1) 채널 트리(가독성 강화 버전)
카테고리는 4~6개 이내로 압축하고, 채널명은 동사·명확한 목적을 반영하세요. 이모지는 역할을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수준에만 사용합니다.
📢 공지 · 시작
#start-here — 시작 가이드/역할 선택/FAQ
#announcements — 주간 공지/일정/발표 순서(읽기 전용)
#rules — 규칙/벌점/운영 원칙(핀 필수)
📚 학습 자료 · 과제
#materials — 주차별 자료/슬라이드/레퍼런스(폴더 구조 링크)
#assignments — 과제 공지(형식/예시/마감)
#submissions — 제출 스레드(주차별 스레드 고정)
#feedback — 멘토/조원 피드백 스레드
💬 질문 · 토론
#qna — 질문 1건=스레드(해결 시 ✅)
#discussion — 주제 토론(주간 주제 핀)
#wins-checkins — 데일리 체크인/작은 성취 공유
🎙️ 라이브 · 집중
🔊 live-stage — 발표/리뷰(스테이지 사용)
🔊 study-1 — 화면공유·화상 가능
🔊 study-2
🔔 pomodoro — 타이머 봇(25/5) + 로그
🧪 스쿼드(조별)
#squad-a — A조 전용(비공개)
#squad-b
▪ 주차별 스레드만 늘어나고 채널은 고정 ▪ 공지/제출/피드백 동선이 한 카테고리 안에서 연결
▪ 음성 채널은 2~3개, 스테이지 1개(발표용) ▪ 조별 채널은 비공개로 최소 권한
1-2) 채널 네이밍·설명 규칙
- 네이밍:
#동사-명사
또는#영역-목적
— 예)#share-materials
,#ask-qna
- 설명: 채널 목적·사용 규칙·필수 템플릿 링크를 2줄 내로. 입장 즉시 이해 가능하게.
- 핀: 각 채널에 “템플릿/예시/폴더 링크/주간 주제” 3~5개만 고정(과잉 금지).
- 슬로 모드: #announcements 30초~1분, #discussion은 상황별로 온/오프.
1-3) 역할(Role)·권한(Permission) 매트릭스(세분화)
권한은 “최소 필요” 원칙으로. 공지·제출·발표·모더레이션의 소유권을 분명히 나누면 운영 소음이 급감합니다.
역할 | 핵심 권한 | 운영 범위 |
---|---|---|
Admin | 서버/역할/봇/권한 전체 | 구조·보안·백업 |
Mentor | 공지 게시, 스레드 관리, 메시지 고정 | 자료/과제/피드백 |
Host | 스테이지/음성 제어, 발언권 관리, 녹음 | 라이브 진행 |
Member | 읽기/쓰기, 스레드 생성, 파일 첨부 | 일반 참여자 |
Guest | 읽기 일부, 음성 제한 | 체험/외부 발표 |
- #announcements: Admin/Mentor만 게시, 모두 읽기. 슬로 모드 ON.
- #submissions: 본문 게시 금지, 스레드만 허용(봇으로 안내 메시지 상시 고정).
- 음성 채널: Host만 전체 음소거/발언권 제어, 멤버는 “손 들기”로 요청.
1-4) 온보딩(3분 완성) — 역할 선택·규칙·자기소개
새 멤버는 #start-here에서 3단계로 끝내야 합니다. 이 과정을 자동화하면 운영 DM이 크게 줄어듭니다.
- 역할 선택 — 반응 역할(이모지)로 트랙/조/알림 수준 선택 → 해당 채널 자동 표시.
- 규칙 확인 — “질문=스레드, 파일=링크+2줄 요약, 발표=5+5분, 마감=금 21:00” 요약 카드.
- 자기소개 — 템플릿 제출 후, 자동 환영 메시지와 필수 채널 목록 찍어주기.
[자기소개 템플릿]
이름/닉네임:
관심 트랙(데이터/디자인/마케팅):
이번 달 목표(구체적):
가능 시간대(요일/시간):
한 줄 각오:
▪ 반응 역할: 이모지 클릭 → 역할 부여 → 해당 채널 열림
▪ 웰컴 DM: “필수 읽기(규칙/공지), 이번 주 일정, 제출 방식” 링크 자동 발송
▪ 체크리스트: 첫 주 할 일 3개(역할 선택/자기소개/알림 설정)
1-5) 규칙 카드(핀 고정) — 질문·파일·발표·클린업
[핵심 규칙(요약)]
질문: 1건=1스레드, 해결 시 ✅ 반영 & 본문 요약
파일: 링크 + 2줄 요약(무엇/왜/다음), 큰 파일은 드라이브
발표: 5분 발표 + 5분 질의, 타이머 기준, 자료 마감 금 22:00
마감: 금 21:00, #submissions '주차 스레드'에 제출
클린업: 매월 1회 스레드/핀 정리 & 오래된 채널 아카이브
1-6) 자료 폴더링·링크 가이드
- 폴더 구조:
/00_공지 /01_W42 /02_W43 …
로 주차별 분리(번호 접두어). - 파일명:
W42_과제_닉네임_요약키워드. pdf
(검색 용이). - 링크 표준: 드라이브/노션은 “보기 권한” 사전 부여, 링크 옆에 만료/버전 표기.
1-7) 스테이지·음성 운영 프리셋
- 스테이지: 발표용 채널 1개 고정, Host가 발언권 승인·시간 관리.
- 음성: study-1/2는 화면공유 허용, 역할별 발언권(Guest는 청취만).
- 타이머: pomodoro 채널에 타이머 봇(25/5) + 세션 시작/종료 로그.
1-8) 보안·모 더레이션 기본값
- 인증: 서버 보안 레벨 “중간↑”, 초대 링크 만료/사용수 제한.
- 금칙어/스팸: 자동 삭제 + 🚩리액션 시 모더레이터 DM.
- 로그: 봇/권한 변경/삭제 로그 채널 분리(#mod-log, 비공개).
1-9) 운영 체크리스트(복붙)
- 카테고리 5개 내외, 공지/과제/제출/피드백/질문/라이브 동선 명확
- #announcements 읽기 전용, #submissions 스레드 전용(안내 메시지 고정)
- 반응 역할로 트랙/조/알림 수준 분기, 온보딩 3스텝 카드 완성
- 규칙/템플릿/폴더 링크 핀 3~5개 고정(과잉 금지)
- 스테이지 1개·음성 2개·포모도로 1개, Host/멘토 권한 점검
- 초대/인증/금칙어/로그 등 보안 기본값 적용
요약하면, 구조 설계의 목표는 경로를 하나로 만드는 것입니다. 공지→자료→과제→제출→피드백→발표가 서버 안에서 끊김 없이 흐르고, 권한과 규칙이 그 흐름을 지켜주도록 하세요. 이렇게 틀이 잡히면, 운영은 공지 복붙이 아니라 콘텐츠 품질에 집중하는 일이 됩니다.
2) 운영 루틴: 주간 스케줄·출석·과제·피드백을 ‘스레드+템플릿’으로
스터디의 완성도는 반복 가능한 루틴에서 나옵니다. 공지—질문—제출—피드백—발표—회고가 매주 같은 흐름으로 돌아가면, 참여자는 “형식을 고민하는 시간” 없이 내용에 집중할 수 있고, 운영자는 품질 관리와 데이터 개선에 시간을 쓸 수 있습니다. 핵심은 두 가지입니다. ① 모든 활동은 채널 1곳에서 스레드로 누적, ② 각 단계는 템플릿으로 표준화. 아래 루틴을 그대로 복붙 해 스터디에 적용하세요.
2-1) 주간 스케줄(예시 운영표)
요일 | 주요 활동 | 채널/도구 | 운영 포인트 |
---|---|---|---|
월 | 주간 공지(목표/자료/과제/일정) | #announcements · 이벤트(Sesh) | 읽기 전용, 핀 고정, 반응 이모지로 수신 확인 |
화 | 주간 주제 토론(선택) | #discussion | 주제 스레드 1개로 몰아가기 |
수 | Q&A 라이브 30분 | 🔊 live-stage / study-1 | 질문 수집 스레드 선개설, 요약 3줄 기록 |
금 | 과제 마감 21:00, 제출 검수 | #submissions | 주차 스레드로 제출 통일, 미제출 자동 리마인드 |
토 | 발표/피드백 세션(90분) | 🔊 live-stage + #feedback | 5+5 분 타임박스, 피드백 스레드 링크 핀 |
일 | 주간 회고/다음 주 예고 | #announcements · #wins-checkins | 리더보드/우수작 발표, 참여 유도 |
2-2) 주간 공지 템플릿(복붙)
[W42 주간 공지]
목표: 지도학습 모델 성능 +2pp (Val 기준)
자료: 슬라이드/노트북/참고 링크
과제: 실험 2개 + 리포트(500자) — 형식 아래 참고
마감: 금 21:00 (#submissions, 'W42 제출' 스레드)
라이브: 수 20:30 Q&A(🔊 live-stage) · 토 10:00 발표
체크인: 매일 10:00/22:00 #wins-checkins 템플릿
2-3) 제출 흐름: ‘채널 1개 + 주차 스레드’ 규칙
제출은 #submissions에서만 받고, 매주 스레드 하나에 모읍니다. 본문은 공지·링크만 남기고, 각 제출물은 스레드 댓글 1개로 통일합니다.
- 운영자가 금요일 09:00에 “W42 제출 스레드” 1개 생성(핀 고정).
- 참여자는 스레드 댓글로 제목/요약/링크/스크린숏 형식 제출.
- 멘토/조원은 해당 댓글의 하위 스레드로 피드백(본문은 깔끔 유지).
[제출 양식 — 댓글에 붙여서 사용]
제목: 실험2 — 데이터 증강
요약: Mixup 적용, 과적합 완화로 Val +1.4pp
링크: 노트북/Repo/보고서
스크린샷: (1장 첨부)
2-4) 피드백 루브릭: 일관성 있는 평가 프레임
피드백의 질을 고르게 유지하려면 루브릭이 필요합니다. 아래 5 항목 5점 척도를 권장합니다.
항목 | 질문 | 점수 가이드 |
---|---|---|
목표 명확성 | 무엇을 개선하려 했는가? | 1(모호) ~ 5(정량 목표) |
방법 적절성 | 선택 이유가 타당한가? | 1(근거 없음) ~ 5(근거 명확) |
결과 해석 | 수치/그래프 해석이 논리적인가? | 1(비약) ~ 5(논리적) |
재현성 | 누가 따라 해도 되는가? | 1(불가) ~ 5(완전) |
표현·형식 | 요약/링크/스크린샷이 명료한가? | 1(난해) ~ 5(명료) |
[피드백 템플릿 — 스레드에 붙여 사용]
좋았던 점(2줄): ____
개선 제안(2줄): ____
질문(선택): ____
루브릭(5점 만점): 목표 __/5 · 방법 __/5 · 결과 __/5 · 재현성 __/5 · 형식 __/5
2-5) 발표/리뷰 세션(90분) — 시간·역할·기록
- 시간: 발표 5분 + 질의 5분(총 10분/인). 8명 기준 80분 + 버퍼 10분.
- 역할: Host(진행/타이머), Mentor(심화질문/총평), Scribe(요약 기록).
- 기록: 발표 끝날 때마다 #feedback에 요약 3줄과 제출 스레드 링크를 남겨 추후 검색성을 확보.
[발표 안내 템플릿]
시간/순서: 토 10:00 — 5분 발표 + 5분 질의(타이머 고정)
형식: 문제·접근·결과·한계(5슬라이드)
자료 마감: 금 22:00 #materials
질문은 발표 스레드에 남겨주세요(음성은 진행 중 뮤트)
2-6) 출석·체크인·포모도로 — 습관을 데이터로
- 데일리 체크인: #wins-checkins에 아침/밤 2회 템플릿으로 기록.
- 포모도로: pomodoro 채널에서 25/5 타이머. 시작/종료 로그를 주간 리더보드로 집계.
- 출석: 주간 공지 메시지에 ✅ 반응 → 봇이 카운트(참여율 그래프용).
[체크인 템플릿]
아침 — 오늘 목표(2줄): ____
밤 — 오늘 한 일(2줄): ____ / 막힌 점: ____ / 내일 한 줄: ____
2-7) 공지/리마인드 자동화(운영부하 ↓)
- 월 09:00 — 주간 공지 예약(MEE6 스케줄러).
- 금 18:00/20:00 — 과제 마감 D-3h/D-1h 리마인드.
- 수 20:00 — Q&A 30분 전 Sesh 자동 DM.
2-8) 품질 지표(KPI)로 운영 점검
- 참여율: ✅ 반응 수 / 전체 멤버 수(주간).
- 제출률: 제출 댓글 수 / 등록 인원.
- 피드백 커버리지: 제출물 대비 피드백 스레드 개수(≥90% 목표).
- 라이브 충실도: 발표수 × 평균 질의 수(질문 2개/건 목표).
2-9) 자주 겪는 문제 → 즉시 교정
증상 | 원인 | 해결 |
---|---|---|
제출이 흩어짐 | 채널·형식 모호 | #submissions 스레드 전용 고지, 예시 댓글 핀 |
피드백 부족 | 역할·기한 불명확 | 멘토 담당 배정, 토 12:00까지 1차 피드백 |
라이브 과시간 | 타임박스 부재 | 타이머 고정, 슬라이드 5장 제한 |
2-10) 운영 체크리스트(복붙)
- 주간 공지 업로드(목표/자료/과제/마감/라이브/체크인) & 핀
- #submissions에 주차 스레드 개설 · 예시 댓글 1개 선등록
- Sesh 이벤트 생성(수/토) · DM 리마인드 확인
- 금 18:00/20:00 마감 리마인드 예약
- #feedback에 발표 요약 3줄 누적 · 루브릭 점수 기록
- #wins-checkins 체크인 활성화 · 리더보드 주간 발표
요약하면, 운영 루틴의 목적은 동선을 고정하고 변수를 줄이는 것입니다. 채널은 그대로, 스레드만 주차별로 늘리고, 템플릿으로 형식을 잠그세요. 루틴이 굴러가기 시작하면 참여율은 올라가고, 운영자는 공지 복붙에서 해방되어 실제 코칭과 품질 관리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3) 자동화·봇·연동: 알림·기록·동기부여를 ‘시스템’으로
운영 퀄리티를 꾸준히 유지하려면 사람이 매번 기억하지 않아도 돌아가는 자동화가 필요합니다. 핵심은 ① 역할/알림을 자동으로 분기하고, ② 일정/마감을 예약·리마인드 하며, ③ 참여 로그를 데이터로 남기고, ④ 모더레이션으로 질서를 지키는 것. 아래는 실전에서 안정적으로 쓰인 봇 조합과 설정 순서, 템플릿/웹훅 예시까지 담은 확장 가이드입니다.
3-1) 필수 봇 선정 기준 & 추천 조합
- 역할/모 더레이션: MEE6 또는 Carl-bot(반응 역할, 자동 공지, 기본 필터)
- 일정/리마인드: Sesh(디스코드 내 이벤트, DM 리마인드, 참석 체크)
- 집중/타이머: 포모도로/스터디 타이머 봇(25/5, 세션 로그)
- 통계/리포트: Statbot(메시지/음성 시간, 주간 리포트) 또는 대안
- 고급 필터: YAGPDB(금칙어, 링크 스팸, 자동 경고/뮤트)
3-2) 반응 역할(Reaction Roles)로 셀프 분류
참여자가 이모지를 누르면 역할이 자동 부여되어, 채널 가시성·멘션 대상이 깔끔하게 분기됩니다(트랙/조/알림 수준).
[역할 선택 안내 — #start-here 핀]
관심 트랙을 선택하세요(복수 선택 가능)
🧠 데이터 🎨 디자인 📣 마케팅
이모지를 누르면 해당 역할이 자동 부여됩니다. 채널이 열리면 온보딩을 계속 진행하세요.
- 운영 규칙: 역할별 멘션 사용(@데이터/@디자인) → 공지 소음 최소화
- 조 편성: 반응 역할로 A/B조 자동 부여 → #squad-a/b 접근 제어
3-3) 일정·리마인드 자동화(마감 누락 방지)
- 주간 이벤트: Sesh로 “수 Q&A/토 발표” 반복 등록 → 참석 버튼 → DM 리마인드(24h/1h 전)
- 마감 알림: MEE6 스케줄러로 금 18:00/20:00 “과제 D-3h/D-1h” 예약
- 캘린더 연동: 구글 캘린더 → Webhook으로 주간 일정 이미지를 #announcements에 자동 게시
[주간 공지(예약용) 템플릿]
W42 계획 — 목표/자료/과제/마감/라이브
- 과제 마감: 금 21:00 (#submissions 'W42 제출' 스레드)
- Q&A: 수 20:30 (신청: Sesh 이벤트)
- 발표: 토 10:00 (5분 발표 + 5분 질의)
3-4) 포모도로·집중 세션 로그 → 리더보드
집중방(pomodoro 채널)에서 타이머 시작/종료를 자동 기록하고, 주간 리더보드를 #wins-checkins에 게시하면 참여 동기가 생깁니다.
- 설정: 25/5(기본), 50/10(장시간) 프리셋 2종
- 집계: 주간 총 집중 시간, 연속 세션, 참여 일수 → 상위 5명 공개
- 보상: 레벨 역할(Lv3 꾸준 러 / Lv5 성실러) 자동 부여
3-5) 제출 자동 체크(간단 웹훅 아이디어)
#submissions 스레드의 새 댓글을 웹훅으로 받아, 형식(제목/요약/링크/스크린숏) 누락 시 안내 댓글을 자동 달 수 있습니다.
// 예시: 서버리스(의사 코드) — 형식 검증 후 디스코드 웹훅으로 답글
POST /submission-hook
body: { author, content, attachments, threadUrl }
if (!content.includes("제목:") || !content.includes("요약:") || !content.includes("링크:")) {
fetch(DISCORD_WEBHOOK_URL, {
method: "POST",
headers: {"Content-Type":"application/json"},
body: JSON.stringify({ content: `형식 안내: 제목/요약/링크 형식으로 수정해주세요\n원글: ${threadUrl}` })
});
}
개발 여건이 없다면 미리 고정해 둔 예시 댓글을 제출 전 복붙하도록 유도하는 방식만으로도 품질이 올라갑니다.
3-6) 점수·배지·레벨링으로 참여 동기 강화
- 가중치: 제출=3점, 발표=5점, 피드백=2점, 체크인=1점(자동 합산)
- 배지: “연속 제출 4주”, “주간 집중 10h” 달성 배지 → 역할/닉네임 색상 부여
- 보상: 월간 상위 3명 발표권/멘토 1:1 피드백/도서 증정 등
3-7) 모 더레이션·보안: 사고는 자동화로 예방
- 인증 레벨: 이메일 인증·계정 생성 N분 후 대화 허용
- 금칙어/링크 필터: YAGPDB로 차단 + 자동 경고(3회→24h 뮤트)
- 초대 링크: 만료/최대 사용수 제한, 유출 시 즉시 무효화
- 로그: #mod-log(비공개)에 삭제/편집/권한 변경 로그 기록
3-8) 데이터 수집·리포트: ‘감’이 아닌 ‘수치’로 운영
- 핵심 지표: 주간 제출률(제출/등록), 피드백 커버리지(피드백 스레드/제출), 라이브 질의 수, 집중시간 합계
- 도구: Statbot CSV → 구글 시트 대시보드(주간/월간 추세)
- 활용: “금 마감 21:00 전 3h 리마인드” 효과 측정 → 알림 시간 최적화
3-9) 바로 쓰는 운영 템플릿
[과제 리마인드 — 금 18:00 예약]
D-3h | 오늘 21:00 마감 — #submissions 'W__ 제출' 스레드에
제목/요약/링크/스크린샷 1장 형식으로 제출해주세요.
[발표 안내 — 수 21:00 예약]
토 10:00 발표(5+5분). 자료 마감 금 22:00 #materials
질문은 발표 스레드에 남겨주세요(진행 중 음성 뮤트).
[Q&A 수집 — 수 12:00 예약]
오늘 20:30 Q&A 라이브. 질문 스레드에 미리 남겨주세요.
상위 5개부터 답변합니다.
3-10) 자동화 체크리스트(복붙)
- 반응 역할 배치(트랙/조/알림 수준) → 채널 가시성 분기
- Sesh 이벤트 반복 등록(수/토) + DM 리마인드(24h/1h)
- 마감 D-24h/3h/1h 예약 공지, #submissions 주차 스레드 사전 개설
- 포모도로 로그 → 주간 리더보드 자동 게시, 레벨 역할 부여
- 금칙어/링크 필터, 인증 레벨/초대 제한, #mod-log 설정
- Statbot 리포트 → 제출/피드백/집중시간 대시보드 주간 공유
요약하면, 자동화의 목적은 누락·지연·소음을 줄이는 데 있습니다. 역할로 분기하고, 이벤트로 알리고, 타이머/리마인더로 습관을 붙이며, 로그를 데이터로 남기세요. 그러면 운영자는 공지/독촉에서 벗어나 콘텐츠와 피드백에 집중할 수 있고, 스터디는 사람의 의지 대신 시스템으로 꾸준히 굴러갑니다.
결론: “구조 → 루틴 → 자동화”만 잡으면 스터디는 ‘사람의 의지’가 아니라 ‘시스템’으로 굴러간다
디스코드는 단순한 음성 채널이 아니라 스터디 운영판입니다. 핵심은 세 단계로 정리됩니다. 첫째, 구조입니다. #start-here·#announcements·#materials·#assignments·#submissions·#feedback·#qna와 스테이지/음성 채널을 한눈에 보이는 트리로 고정하고, 역할/권한으로 소음을 차단하세요. 둘째, 루틴입니다. 월 공지–수 Q&A–금 마감–토 발표의 주간 흐름을 채널 1곳(#submissions) + 스레드(주차 단위)로 누적하고, 공지·제출·피드백·발표를 템플릿으로 표준화합니다. 셋째, 자동화입니다. 반응 역할로 대상 분기, Sesh로 일정/리마인드, 포모도로/리더보드로 참여 로그, MEE6/Carl-bot/YAGPDB로 공지 예약과 모더레이션을 시스템에 맡기면, 운영자의 콘텍스트 스위칭과 독촉 메시지가 사라집니다.
처음부터 완벽할 필요는 없습니다. 보이는 구조를 만들고, 한 가지 루틴(주차 제출 스레드)부터 굴리며, 한두 개 자동화(마감 리마인드·역할 선택)만 얹어도 효과가 큽니다. 기록이 쌓일수록 신입 온보딩은 빨라지고, 발표/피드백의 품질이 균일해지며, 참여율은 데이터로 관리됩니다. 결국 스터디의 지속력은 개인의 의지가 아니라 채널·스레드·템플릿·봇이 만드는 일관성에서 나옵니다.
- 채널 트리 복붙 생성: #start-here · #announcements · #materials · #assignments · #submissions · #qna · 음성 2개
- #submissions “W__ 제출 스레드” 사전 개설 + 예시 댓글 핀(제목/요약/링크/스크린샷)
- 주간 공지 템플릿 게시(목표/자료/과제/마감/라이브/체크인) · 이벤트(Sesh) 등록
- 반응 역할 배치(트랙/조/알림 수준) · 공지/제출 권한 잠그기
- 마감 D-24h/3h 예약 공지 · Q&A DM 리마인드 설정
- 포모도로 타이머 가동 → 주간 리더보드 자동 게시
- KPI 대시보드(제출률/피드백 커버리지/집중시간) 초안 만들기
오늘은 구조만 잡아도 충분합니다. 채널 트리를 만들고, 주차 제출 스레드를 개설한 뒤, 마감 리마인드 하나만 예약하세요. 내일은 반응 역할을 붙이고, 주말에는 발표 템플릿과 스테이지 운영 프리셋을 정리합니다. 그다음 주부터는 운영자가 공지 복붙에서 해방되어 콘텐츠·피드백에 시간을 쓰게 될 겁니다. 스터디는 시스템이 굴립니다. 디스코드에서 그 시스템을 지금 시작하세요.